라즈베리파이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.
라즈베리파이, w, wh, 2, 3, 3B, 4 등등..
모니터를 연결할 수 있게 HMDI 포트가 나와 있는데 3나 3B인 경우 일반 HDMI케이블을 사용해서 일반 모니터와 연결 시 그닥 문제가
있진 않지만 w나 4는 일반 HDMI가 아닌 mini, micro 를 사용하기 때문에 어댑터가 필요 하다.
라즈베리파이와 같은 미니pc, 리눅스 환경은 터미널에서 작업을 주로 하기에 ssh 연결 후 작업 시 크게 문제가 되진 않는다.
※ 라즈비안 설치
일단 라즈비안 OS를 올릴 SD카드 준비.
SD 카드 노트북에 연결.
Raspberry Pi imager 프로그램 실행.
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.
Raspberry Pi OS – Raspberry Pi
The Raspberry Pi is a tiny and affordable computer that you can use to learn programming through fun, practical projects. Join the global Raspberry Pi community.
www.raspberrypi.org
CHOOSE: 라즈비안 선택.
CHOOSE STORAGE: SD카드 선택.
WRITE: SD카드 굽기.
※ 라즈베리파이 접속
굽기가 완료대면 해당 SD카드에 들어가 ssh 파일 만든다.
'새로 만들기 -> 텍스트 파일 선택 -> 이름 바꾸기 (ssh) -> 중요( .txt 삭제) -> 알림 창 (예) 클릭'
wifi 연결 시 필요한 id와 pw는 wpa_supplicant.conf 파일 만든 후 편집
아래와 같이 적어준다.
country=US
ctrl_interface=DIR=/var/run/wpa_supplicant GROUP=netdev
update_config=1
network={
ssid="SSID"
psk="비밀번호"
key_mgmt=WPA-PSK
}
(iptime 기준) 공유기 설정 192.168.0.1에서
고급 설정 -> 네트워크 관리 -> 내부 네트워크 정보
연결되어 있는 ip 중 raspberrypi 이름의 ip확인
ssh 접속은 putty.exe 프로그램이나 터미널에서 접속이 된다.
putty는 ip 주소 입력.
터미널에선 ssh pi@'raspberrypi ip' 입력 시 접속이 가능해진다.
처음 접속 시
ID : pi
PW : raspberry
'Another > 라즈베리파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Raspberry Pi] 고정 IP 할당 (0) | 2021.11.02 |
---|---|
[Raspberry Pi] MQTT Pub/Sub Python (2) | 2021.04.11 |
[Raspberry Pi] MQTT 브로커 mosquitto 설치 (0) | 2021.03.28 |
[Raspberry Pi] 라즈베리파이4 온습도 센서(DHT22) 에러 -> 해결완료 (0) | 2021.03.17 |
[Raspberry Pi] 재 부팅 시 Python 실행 터미널 실행 (0) | 2020.06.30 |